2025/07/23 2

AI 기술에 대한 시민의 알 권리와 설명 받을 권리

기술이 우리 삶을 바꿀 때, 우리는 그 기술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AI 기술은 이제 공공서비스, 금융, 의료, 교육, 교통 등 거의 모든 영역에서 우리의 삶에 영향을 주고 있다. 더 이상 AI는 전문가만의 영역이 아니라, 일반 시민이 직접 영향을 받고, 그 결정에 따라 일상에서 혜택을 받거나 피해를 입는 시대에 접어들었다. 예를 들어, 대출 신청이 거절되거나, 지원한 공공서비스에서 제외되거나, 범죄 감시 대상에 올랐을 때, 그 결정에 AI 알고리즘이 개입되어 있다면, 우리는 반드시 그 이유를 알아야 할 권리가 있다. 이것이 바로 ‘알 권리(Right to Know)’와 ‘설명 받을 권리(Right to Explanation)’다. 그러나 현실은 이 권리가 충분히 보장되고 있지 않다. 기업이나 행정기관은 ..

AI 윤리 19:20:55

AI 알고리즘에 의한 차별 판단을 어떻게 제도화할 것인가

무의식적 차별이 알고리즘을 통해 구조화될 때, 사회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AI 알고리즘은 많은 경우 인간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도구로 여겨진다. 그러나 데이터와 수학적 모델에 기반한 이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중립’하지 않다. 인간이 설계한 모델, 인간이 수집하고 가공한 데이터, 인간 사회의 불평등을 반영하는 환경 속에서 만들어진 알고리즘은 의도하지 않게 특정 집단을 배제하거나 차별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차별이 인간의 고의적 판단이 아닌 '기계적 결과'로 포장되면서, 그 책임은 희미해지고 피해는 구조화된 상태로 반복된다는 점이다. AI에 의한 차별은 채용, 대출, 보험, 교육, 의료, 행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실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게 기회 박탈, 불공정..

AI 윤리 03:1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