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2

감정 인식 AI 기술의 위험성과 국내 규제 방향

기계가 사람의 감정을 읽는 시대, 우리는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가?AI 기술이 인간의 표정, 목소리, 시선, 생체 신호를 분석해 ‘감정’을 추정하고 분류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이른바 ‘감정 인식 AI’ 기술은 마케팅, 교육, 금융, 의료, 보안 등 다양한 영역에 빠르게 도입되고 있으며, 기업들은 고객의 만족도 예측, 사용자 반응 분석, 피로도 측정, 위험 행동 예측 등의 목적으로 이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동시에 심각한 프라이버시 침해, 차별적 판단, 감정의 오판이라는 위험을 동반한다. 인간의 감정은 단순한 데이터가 아니라 맥락, 상황, 문화에 따라 복합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주관적이고 민감한 정보다. AI가 이를 수치화하고 판단한다는 것은 단순한 기술적 성과가 아니라, 인간 ..

AI 윤리 2025.07.09

생성형 AI 시대, 청소년 보호법의 실효성 평가

청소년은 생성형 AI 콘텐츠의 수용자이자 피해자가 될 수 있다생성형 AI의 확산은 콘텐츠 소비와 생산의 방식을 완전히 바꿔놓고 있다. 글쓰기, 이미지 생성, 음성 합성, 영상 편집까지 AI가 주도하는 콘텐츠는 더 빠르게, 더 정교하게, 더 자극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 가운데 청소년은 AI 콘텐츠의 주요 사용자이자, 동시에 가장 취약한 소비자다. 특히 유해 콘텐츠, 왜곡된 정보, 가짜 뉴스, 딥페이크, 혐오 표현 등 AI가 만들어낸 문제 콘텐츠는 청소년의 인지 발달과 정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인터넷 중독, 사이버 괴롭힘, 비윤리적 가치관의 내면화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은 그동안 「청소년 보호법」을 통해 음란물, 폭력물, 사행성 콘텐츠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는 규제를 운영해 왔지만, ..

AI 윤리 202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