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8 3

AI 채용 시스템의 공정성 문제와 개선 방안

공정성을 약속한 AI 채용, 오히려 차별을 자동화하고 있지는 않은가?AI 채용 시스템은 빠르고 효율적인 인재 선발 도구로 각광받고 있다. 수천 개의 이력서를 분석하고, 면접 영상을 평가하며, 지원자의 언어·표정·말투에서 역량을 추정하는 기능은 기존 채용의 비효율성과 주관성을 줄일 수 있다는 기대를 낳았다. 특히 한국에서는 공공기관, 대기업, 금융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반 서류 평가, AI 역량검사, AI 면접 시스템이 빠르게 확산되며 ‘비대면 채용 시대의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제기되는 문제는 바로 AI 채용의 공정성, 편향성, 투명성 부족이다. 지원자는 왜 떨어졌는지 설명을 듣지 못하고, 개발자는 AI가 학습한 데이터의 성격조차 명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AI..

AI 윤리 2025.07.08

공공기관의 AI 윤리 기준 설정과 적용 과정

공공부문에서의 AI 활용은 기술보다 윤리가 먼저여야 한다인공지능(AI)이 공공기관에 도입되면서, 시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은 점차 커지고 있다. 민원 상담, 행정 처리, 교통 제어, 복지 심사, 범죄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기술이 적용되며 업무 효율성은 증가하고 있지만, 동시에 시민의 권리와 신뢰를 위협할 수 있는 윤리적 위험도 함께 확대되고 있다. 공공기관은 민간기업과 달리 국민의 세금과 정보로 운영되는 조직인 만큼, AI 기술을 도입할 때 투명성, 공정성, 설명 가능성, 책임성 등 윤리적 기준을 보다 엄격하게 설정하고 이를 철저히 준수할 의무가 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공공부문 AI 윤리 기준을 제시하고, 행정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다각도의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한..

AI 윤리 2025.07.08

공교육 현장에서 AI 윤리 교육이 실제로 작동하는 방식

학생들은 AI 시대의 사용자이자, 동시에 책임 있는 시민으로 자라야 한다AI는 이제 아이들의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고 있다. 검색, 음성비서, 챗봇, 추천 알고리즘, 생성형 콘텐츠까지, 학생들은 AI의 영향을 받으며 자라고 있으며, 일부는 AI 도구를 직접 활용해 학습을 수행하고 있다. 이런 시대에 단순히 AI의 기술 원리만을 가르치는 것은 충분하지 않다. AI를 윤리적으로 이해하고, 사회적 책임을 인식하며, 편향과 위험을 판단할 수 있는 능력, 즉 AI 윤리 소양이 학생들에게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따라 한국 교육부를 비롯한 공교육 기관들은 최근 몇 년 사이 AI 윤리 교육을 정규 교육과정 안으로 점진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AI 윤리 교육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으며, 교..

AI 윤리 2025.07.08